나님, 곧 전능하신 이의 큰 날에 전쟁을 위하여 그들을 모으더라. “보라. 내가 도적같이 오리니, 누구든지 깨어 자기 옷을 지켜 벌거벗고 다니지 아니하며 자기의 부끄러움을 보이지 아니하는 자가 복이 있도다.” 세 영이 히브리 음으로 아마겟돈이라 하는 곳으로 왕들을 모으더라.(16:12-16)
이번에는 대접을 유브라데 강에 쏟는다. 유브라데 강은 성경에 에덴동산에서 발원한 네 번째 강으로 되어 있고,(창2:14) 또 오늘날 티그리스 강과 함께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흐르는 2대 강의 하나이며, 당시에 바벨론의 한복판을 흐르고 있었다. 요한은 이 유브라데 강에 대하여 잘 알고 있으므로, 비유로 보여주신 것이다. 전자는 영적인 강이요, 후자는 육적인 강이다.
유브라데 강에 대접을 쏟으니 강물이 말라, 동방에서 오는 왕들의 길이 마련되었다. 구약에서는 여호와의 권능에 의해 바닷물이나 강물이 마르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 모세가 지팡이로 홍해를 갈라 길이 되게 한 것이라든지,(출14:21) 이스라엘 백성들이 여호수아의 영도 아래 요단강을 건너갈 때에 마른땅을 밟고 간(수3:17) 경우가 다 그렇다. 이사야는 “여호와께서 애굽 해고(海股)를 말리우시고, 손으로 유브라데 하수(河水)를 쳐서 일곱 갈래로 나눠 신 신고 건너가게 하실 것이라.”(사11:15)고 했으며, 예레미야서에는 “내가 그 바다를 말리며, 그 샘을 말리리니”(렘51:36) 하고 바벨론이 황폐하게 될 것을 경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