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게 교제의 악수를 청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하겠습니다.(갈2:9) 이것은 비단 초대 교회 당시에만 국한된 일이 아니며, 오늘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 한 마디 첨부하고 싶은 것은, 주의 종은 자기보다 교인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의 종이 자기 위신이 손상될까봐 두려워한다면 벌써 주께서 같이하시지 않는다는 적신호입니다. 내가 더 꼬집어 말하지 않아도 무엇을 의미하는지 짐작할만한 분은 짐작하실 것입니다.
(7) 율법과 은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라.”(롬3:20) 이 말씀은 모세 율법을 잘 지켰다고 해서 주 앞에 의롭다고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구약시대에는 죄를 온전히 씻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는, 여러분이 알다시피, 하나님의 백성들이 죄를 지으면 반드시 짐승의 피로 제사를 드려 어느 정도 사함을 받았습니다.
이 ‘어느 정도’라는 말에는 깊은 사연이 깃들어 있습니다. 구약시대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죄를 지을 때마다 그 죄상의 경중에 따라 송아지나 양 또는 비둘기를 잡아 그 피로 제사를 드렸는데, 이들 제물의 피가 정결한 만큼 지은 죄가 씻겼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법도에 의하면, 죄는 피가 아니면 씻을 수가 없게 되어 있습니다.(히9:22) 그런데 구약시대에는 제물은 물론, 제사장도 온전치 못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