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2

얼마나 가소롭겠습니까? 이런 자는 주께서 탕감해 준 빚을 도로 받아 가는 것입니다. 즉 그가 아무리 잘 믿고, 십일조를 잘 내고, 새벽 기도를 열심히 드려도 소용이 없습니다. 주님의 눈 밖에 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주님은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하고 기도하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자기는 자기에게 죄 지은 자를 용서해 주지 않고, 자기 죄만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받으려고 한다면 이런 얌체가 어디 있겠습니까?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많은 죄의 빚을 탕감 받았으니, 나에 대해 형제가 저지른 어떤 죄의 빚인들 탕감 못할 게 무엇이 있겠느냐는 마음이 참으로 우러나, 그 죄를 용서해 줘야 하는 것입니다.

내가 오늘날 주의 종으로서 큰 사명을 맡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이 주기도문에 저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나만큼 남에게 욕먹은 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탕감 받은 원죄와 유전죄, 그리고 자범죄에 비하면 남이 나에게 저지른 죄는 새 발의 피라는 생각이 앞서는 것입니다. 이런 생각이 중심으로 솟아나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 자기를 부당하게 해치려는 자를 미워하는 것이 상례요, 또한 자연스러운 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믿음 안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것이 기독교 윤리입니다.

202 에덴의 메아리7권
Chapter 32

그리고 이 윤리에는 인간의 본질상 충분한 근거가 있습니다. 그것은 인간은 누구나 나면서부터 새까만 죄인이라는 사실입니다.(시51:5)

여러분이 은혜를 받고 못 받은 것은 형제를 미워하느냐, 아니냐 하는 것으로 대뜸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 자신이 누구보다도 잘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각자 내가 형제를 시기하고 미워하지 않았나, 한 번 곰곰이 돌이켜 생각해 보십시오. 그러면 자기가 은혜를 받았는지, 못 받았는지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자기가 형제를 시기하고 미워한다면 은혜를 받지 못한 것이며, 따라서 기도에 응답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100% 믿어도 좋습니다.

우리가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용서와 용납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용서하는 것”은 불의를 용납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설사 상대방이 자기에게 큰 죄를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은혜 안에서 인간의 약점을 너그럽게 헤아려 용서하고 그 책벌은 하나님께 맡기라는 것입니다. 용서는 약자의 윤리가 아니라 강자의 덕입니다.

에덴의 메아리7권 203